본문 바로가기
📌신도시•개발노트

5차 국토종합개발계획 핵심 정리 : 대한민국 도시 미래 지도 (2025~2040)

by haru-bliss 2025. 10. 16.

🗺️ 5차 국토종합개발계획 핵심 정리|대한민국 도시 미래 지도 (2025~2040)

대한민국의 도시 구조는 지금 거대한 변곡점에 있습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제5차 국토종합개발계획(2025~2040)은 앞으로 15년간 국가 공간의 큰 방향을 제시하는 로드맵입니다.

이 계획은 단순한 국토 개발이 아니라 사람 중심의 지속가능한 국토관리를 목표로 합니다. 인구 감소, 기후 위기, 산업 전환 등 시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이기도 합니다.

 


 

 5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이란 

국토종합개발계획은 대한민국 국토정책의 최상위 계획입니다. 약 20년 주기로 국가의 공간 구조를 다시 설계하는 전략 문서로, 이번 5차 계획은 “균형을 넘어 통합으로”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전 4차 계획(2006~2020)이 균형발전과 수도권 분산에 초점을 맞췄다면, 5차 계획은 연계와 통합, 지속가능성을 중심 키워드로 내세웠습니다.

  • 수도권과 지방이 상호 보완적으로 성장하는 균형과 연계의 국토
  • 산업, 교육, 주거 기능이 결합된 혁신과 포용의 국토
  • 탄소중립과 생태 보전을 중시하는 지속가능한 국토

 


 

 5대 광역경제권 체계로 재편 

이번 계획의 중심에는 5대 광역경제권 체계가 있습니다. 기존 수도권 집중 구조에서 벗어나 전국을 다섯 개의 경제생활권으로 구분해 각 지역이 고유한 산업과 기능을 발전시키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출처: 국토교통부 스마트시티 포털(Smartcity.go.kr) / 충청남도 균형발전담당관

 

 

 

권역 주요 도시 핵심 산업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첨단산업, 금융, R&D
충청권 세종, 대전, 청주 행정, 반도체, 연구개발
호남권 광주, 전남, 전북 에너지, 농식품, 문화콘텐츠
동남권 부산, 울산, 경남 해양물류, 자동차, 조선
강원·제주권 강릉, 원주, 제주 관광, 생태, 신재생에너지

 

 교통과 물류 인프라의 대전환 

교통망 확충은 이번 계획의 또 다른 핵심입니다. GTX, KTX, 도시철도, 공항, 항만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세 시간 생활권에서 두 시간 생활권 시대로 전환됩니다.

  • GTX : 수도권 핵심축 완성 (A·B·C·D 노선 및 신규 검토노선)
  • KTX·고속철도 : 전국 주요 도시 2시간대 연결
  • 광역전철·BRT 확충 : 메가시티 교통망 강화
  • 공항·항만 현대화 : 인천공항 4활주로, 가덕신공항, 신항만 개발

 


 

 신도시와 택지개발의 연계 전략 

5차 계획은 3기 신도시, 혁신도시, 기업도시, 공공택지 정책과도 긴밀히 연결됩니다. 수도권은 ‘기존 도시 리모델링 + 신도시 네트워크화’를 추진하고, 지방권은 지역 산업 중심의 혁신거점을 강화합니다.

 


 

 지속가능한 국토관리 방향 

5차 계획은 개발 중심에서 관리 중심의 국토정책으로 전환합니다. 탄소중립, 스마트 인프라, 생활권 재정비가 핵심 키워드입니다.

  • 재생에너지 기반 제로시티 확대
  • 노후 도심 재생 및 녹색 인프라 확충
  • 수변도시·산업단지 생태 복원
  • 도시별 스마트 교통시스템 구축

 

 향후 일정과 전망 

구분 주요 내용
2025년 5차 국토종합계획 시행, 부처별 세부계획 수립
2026~2030년 수도권-지방 연계 교통망 구축, 대규모 택지 공급
2030~2040년 메가시티 완성, 지방 중추도시 자립체계 확립

2030년대 중반에는 수도권과 지방의 경계가 완화되고, 세종·광명·대전·청주 등 중추도시 간 협력체계가 강화될 전망입니다. 서울-부산 2시간, 세종-광명 1시간의 초연결 시대도 열리게 됩니다.

 


 

 대한민국 도시의 미래 : 연결과 균형 

5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은 단순한 도시계획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공간 구조를 다시 설계하는 국가 전략입니다. 수도권 중심의 단일 축이 아닌 전국 네트워크형 다핵국가를 지향합니다.

앞으로의 부동산과 도시정책은 교통망 + 산업벨트 + 자족도시의 구조로 움직이게 됩니다. 이 흐름을 이해한다면, 수도권과 지방의 균형 발전 속에서 미래의 투자 방향을 선제적으로 준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자료 출처: 국토교통부 / 국토연구원(KRIHS) / LH / 충청남도 (2025.10 기준)